본문 바로가기
Interior A to Z/인테리어정보

유리블록 인테리어 활용 장단점

by :yeah 2023. 1. 9.
728x90
반응형

 

유리블록; glass block

유리로 만든 건축용의 속이 빈 블록. 건물의 외벽, 칸막이용 블록으로 채광이나 방음 따위에 효과가 있다.

건축 내 외장 마감재로 유리블록이 쓰인 지는 오래되었어요. 역사 안이나 공공장소에서 볼 수 있던 유리블록은 인테리어 자재로써 재작년부터 지금까지도 유행이지 않나 싶어요. 어떻게 재해석하냐에 따라 180º 달라지는 모든 자재들. 오늘은 유리블록 인테리어 아이디어부터 장단점까지 알아볼게요.

 

 

 


 

 

 

거실외창전체를 유리블록으로 마감하여 아파트1층에서 외부로부터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며 채광까지 놓치지 않아 밝고 느낌있는 인테리어를 완성시켰다.

 

아마 김나영님 집을 통해서 유리블록을 알게 되신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워낙 감각 좋은 연예인인 건 알고 있었지만 유리블록 인테리어를 보고 역시나 센스 있다고 생각했어요. 여기서 많은 분들이 궁금하신 점은 2중샷시가 아닌 유리블록만으로 단열성 및 차음성이 괜찮은가? 일텐데요, 대답은 OK입니다. 유리블록은 중간에 공기층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있어 결로방지에도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어요. 차음성 또한 높아서 예전부터 건축 외장 마감재로 많이 쓰였던 것이죠.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유리블록으로 창을 대체할 시 열고 닫을 수 없어 환기가 어렵습니다. 그럴 땐 한쪽으로 쪽창을 내어 환기창으로 쓰시면 됩니다.

 

 

반응형

 

 

이처럼 유리블록을 인테리어적으로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빛이 들어오는 곳 = 즉 창문대신 시공하는 것입니다. 유리블록을 투과한 빛은 은은하게 확산되어 분위기 있는 연출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정해진 정답은 없으니 가벽이나 파티션 등으로도 취향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시를 더 보여드리고 포스팅 마칠게요.

 

 

 

거실에 유리블록으로 가벽을 세워 공간분리를 해주며 재밌는 디자인적 요소까지 더했다.

 

 

 

욕실 안 샤워부스 또는 일반 유리파티션 대신 시공한 모습

 

 

현관 파티션에 유리블록을 시공하여 집의 첫인상인 현관을 답답하지 않고 개방감 있게 연출하였다.

 

 

@Pinterest

반응형

댓글